1. 프로그래밍?
1-1. Computer Architecture
cpu(Instruction) ↔ ram(Program) ↔ ssd(Files)
ssd의 데이터를 cpu에서 사용하려면, 중간다리 역할인 ram의 역할이 중요하다.
1-2.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을 잘 하기 위해선 아래 항목을 만족해야 한다.
-가독성(읽기 쉬운가)
-확장성(오픈소스 라이브러리가 많은가)
-생산성(개발속도가 빠른가)
1-3. Python
태생적으로 수치연산에 약하다. 실수형태의 계산이 반복되면 오류가 증가하게 된다. 때문에 수치연산 라이브러리인 numpy를 사용한다.
2. Data type
Python은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코드를 실행할 때 데이터 타입이 결정된다.(Dynamic Type Binding)
데이터 타입에 따라 연산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데이터 타입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변수란?
이론상 변수 할당에 제한이 없음. 무한에 가까운 값을 갖는 변수도 지정은 가능함.
컴퓨터는 변수를 실제 물리적인 메모리 주소공간으로 인식
ex) a = 10(assignment operator)
변수(=주소값, L-value) = 데이터(R-value)
2-1. 숫자 데이터
int(=integer, 정수형) :
float(실수형) :
- 사칙연산 : +-*/
- 특수연산 : 제곱(**), 나눈 몫(//), 나눈 나머지(%)
2-2. 문자열
str: 문자열에서의 사칙연산은 숫자 데이터의 연산과는 다름
Formatting :
① print format
② str.format
③ f-string
- 관련 함수 : upper(), lower(), strip(), join(), split(), replace()
2-3. 연속형 데이터
1). list
중괄호('[]') 사용. 데이터 변경 가능(mutable)
Indexing : Python은 처음값을 1이 아닌 0으로 사용한다.
Slicing : 콜론(':')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잘라서 사용한다.
리스트의 연산
리스트 관련 함수 : append(), sort(), reverse(), pop()
2). tuple
괄호('()') 사용, 데이터 변경 불가(immutable data)
3). set
집합은 원소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순서가 존재하지 않는다.
교집합(intersection), 합집합(union), 차집합
집합 관련 함수 : add(), update(), remove()
4). dict
key - value의 형태, key가 되는 데이터의 타입은 immutable이어야 한다.
사전 관련 함수 : key(), values(), items(), get(), in
3. Control Statement
- 비교연산 : 같다(==) , 다르다(!=) , 초과(>) , 미만(<) , 이상(>=) , 이하(<=)
- 논리연산 : 그리고(and), 또는(or), 아닌(not)
비교연산, 논리연산은 결과가 참(Ture) 또는 거짓(False)로 나온다.
3-1. If statement(조건문)
커피 자판기 예제
money = 500
if money == 300:
print("Coffee")
elif money < 300:
print("거스름도은 %d원입니다." % money)
else:
print("Coffee")
print("거스름돈은 %d원입니다." % (money - 300))
3-2. Iterative Statement (반복문)
1). while문 :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반복
구구단 2단 예제
number = 0
while number < 9:
number = number + 1
print("2 X %d = %d" % (number, 2 * number))
2). for문 : 지정 횟수동안 반복
돈이 5000원일 때 먹을 수 있는 음료는?
coffees = ['아메리카노', '카페라떼', '카페모카', '바닐라라떼', '핸드드립', '콜드브루']
prices = [4100, 4600, 4600, 5100, 6000, 5000]
for i in range(len(coffees)):
if prices[i] <= 5000:
print(coffees[i])
아메리카노
카페라떼
카페모카
콜드브루
3). break, continue statement
break : 특정 조건에서 반복문을 멈출 때 사용
continue : 특정 조건에서 반복문을 건너뛸때 사용
'클래스 리뷰 > 21.06 K-Digital Training AI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이론 (2) | 2023.03.05 |
---|---|
웹크롤링 프로젝트 : CGV 리뷰 크롤링 (0) | 2023.03.03 |
Numpy, Pandas, Seaborn (0) | 2023.02.22 |
[K-Digital Training] 패스트캠퍼스 AI 기반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과정 - 신청에서 합격까지 (0) | 2023.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