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디자인 - 앱의 기본 UI
1. 기획 1. 기획 실제 개발을 해보니 가장 중요한게 기획이었다. 기획 과정에서 문제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앱을 만들어야 나중에 고생을 덜 한다. (전문적으로 기획을 해본건 아니기 때문에, 실제
work-master.tistory.com
2-2. 프로토타입
프로토타입은 앱 개발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이는 디자인이나 사용자 경험에 대한 이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동시에,
개발팀과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고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된다.
2-2-1. 프로토타입의 중요성
- 디자인 개선 및 피드백 수용
- 프로토타입을 통해 사용자가 앱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음
- 이를 통해 디자인 결정을 내리기 전에 사용자 피드백을 수용하고, 사용자 경험을 더 개선할 수 있음
- 문제 조기 발견
- 프로토타입을 작성함으로써 개발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조기에 파악 가능
-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단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 이를 수정하고 개선할 수 있음
- 의사소통 간소화
- 개발팀과 디자인 팀 간의 의사소통이 중요
- 프로토타입을 통해 구체적인 시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아이디어와 요구사항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음
- 스테이크홀더 참여 유도
- 비즈니스 리더나 다른 이해관계자들에게 프로토타입을 보여줌으로써, 프로젝트의 방향성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고 스테이크홀더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음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화 추천 앱"을 사용하는 경우
- 프로토타입을 통한 사용자 피드백
- 프로토타입을 통해 사용자는 어떻게 영화를 검색하고 추천을 받을지 시뮬레이션
-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검색 기능이 부족하거나 추천 알고리즘이 사용자의 취향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를 발견하고 이에 대한 개선을 수행
- 문제 조기 발견과 수정
- 프로토타입을 통해 사용자가 어떤 상황에서도 간편하게 앱을 탐색할 수 있는지 확인 가능
- 사용자가 특정 화면에서 혼란스러움을 느낀다면, 해당 부분을 다시 디자인하여 개선
2-2-2. 프로토타입 만들기
앞서 앱의 기본 UI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참고하여 프로토타입을 만들어본다.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쉽고 빠르고 펜으로 그려볼 수도 있고, 무료 디자인 툴을 이용할 수도 있다.
1). 스케치
말 그대로 간단하게 그려보는 것이다.
디자인을 고민해야 하는 부분은 두 가지이다.
- 추천의 대상인 유저의 성향과 그동안 자주 본 영화를 파악하기 위해 데이터를 입력받는 화면
- 추천 영화 리스트를 보여주는 화면
2). 디자인 툴 이용하기
스케치만으로도 대략적인 앱 구조를 만들기에는 충분하기 때문에,
이번 글에서 구체적인 디자인 툴 사용법은 설명하지 않는다.
(기회가 되면 다른 카테고리를 만들어 글을 쓰도록 하겠다.)
하지만 스케지만으론 부족하다고 느끼는 사람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소개만 추가한다.
대표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디자인 툴인 Draw.io, Figma 두 가지에 대해 장단점을 알아보자.
- Draw.io
- 장점
- 무료로 사용 가능하며, 웹 기반이라 별도의 소프트웨어 설치가 필요하지 않음
- 간단한 다이어그램을 만들기에 적합
- 다양한 템플릿 제공
- 팀 협업 가능
- Google 드라이브와 연동 가능
- 단점
- 다른 툴에 비해 전문적인 디자인 요소를 다루기에는 기능이 제한적임
- UI/UX 디자인을 위한 고급 기능이 부족함
- 장점
- Figma
- 장점
- 무료로 사용 가능하며, 웹 기반이라 별도의 소프트웨어 설치가 필요하지 않음
- 벡터 그래픽 도구를 제공하며 UI/UX 디자인에 적합
- 다양한 플러그인과 템플릿 제공
- 단점
- 오프라인 작업이 어려우며, 무료 계정은 저장 용량 제한이 있음
- 간단한 다이어그램을 그리기에는 비교적 과할 수 있음
- 장점
'추천시스템 앱 개발 > 기획 및 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디자인 - 앱의 기본 UI (0) | 2023.12.18 |
---|---|
1. 기획 (0) | 2023.1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