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에 대한 지름을 미루지 마세요.
후기라고 올리기엔 많이 늦은감이 있지만....
블로그를 일찍 시작했다면 가장 먼저 썼을 글이다.
DS school은 개발자로의 커리어 전환을 시작하게 해준 고마운 곳이기 때문에 기록해두려고 한다.
(지금도 한번씩 DS school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는데, 현재는 영업을 안하는 것 같다.)
데이터 분석가가 돈을 그렇게 잘번다고...??
2018년 10월, 나는 첫 직장생활을 자동차 부품회사에서 연구원으로 시작했다.
취직하고 6개월 정도 지나니 생각이 많아졌다.
당시 내가 맡은 아이템은 내연기관 부품이라, 전기차로 전환되는 상황에서는 사라지는 부품이었다.
제조업의 미래, 그리고 회사에서의 나의 미래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게 되었다.
때마침 퇴근하고 유튜브 보는데 DS school 광고가 나왔다.
IT업계의 성장, 데이터 분석가의 창창한 미래, 고액의 연봉...
나의 마음을 흔들기에는 충분했다.
한 두달정도 고민하다가... 도전!

입문반 과정을 들었다.
python 기본기를 배우고,
kaggle이라는 사이트에서 '타이타닉 사고 예측 문제'를 풀어보는 과정이었다.
퇴근하고 한달간 정말 열심히 하고 느낀점은..
완전 꿀잼
프로그래밍에 대한 경험이 전혀 없는것은 아니다.
전공이 기계라 필수교양으로 C언어를 한학기 배우긴 했지만, 그땐 무슨말인지도 모르겠고 하기도 싫었다.
학점도 아마 C를 받았던 것 같다.
근데 이렇게 프로그래밍이란걸 해보니까 재미있고 신기했다.
(조금 과장하면, 시각화 할때는 화려함에 눈이 돌아간다.)
당시 이런 인터뷰도 했었다.

흥미도 있었고, 나름 해볼만하다고 생각했다.
나의 길은 데이터 분석가다!
현실은 쉽지않아.
한달 공부한 내용으로는 부족함을 많이 느꼈다.
다른강의를 더 들어볼까 고민도 했다.
학원들은 어디가 있는지, 이직에 몇개월이 걸리는지, 금전적으로 얼마나 필요한지를 찾아봤다.
기억하기로는 당시에 취업과 연계된 오프라인 데이터분석 과정이 한 2~400만원? 정도 했던 것같다.
취직이 어느정도 보장된거라면 사실 큰 금액이 아니다.
하지만 그마저도 사회 초년생인 나에겐 부담되는 금액이었고, 전일 교육을 위해서는 퇴사를 먼저 해야했다.
대학에서 4년, 취업준비한다고 1년, 취직하고 1년.. 그동안의 시간이 아깝게 느껴졌다.
나는 '안정적인 직장'과 '무모한 도전'을 앞에 두고 계속해서 저울질을 하고있었다.
그렇게 1년을 더 보냈다.
그러던 중 문자가 왔다.
'데이터 분석 온라인 프리패스 과정' 할인
다시한번 도전!
입문, 실전분석, 머신러닝(ML), 딥러닝(DL) 과정을 모두 모은 프리패스 과정을 할인한다는 문자였다.
온라인이라 퇴근후에 들을수도 있고, 가격도 엄청 저렴했다.
한 번만 더 들어보고 결정하자.. 하고 신청했다.

수강완료!
4개 과정 당 레벨이 있고, 레벨 당 과제가 있는데 모든 과제를 끝내고 피드백도 받았다.
어느정도 기본기는 갖춘것 같다.

그래서... 이직 성공??
20년 7월 11일에 프리패스 과정을 시작했다.
여기가 맞다는 확신이 들었다.
21년 1월 08일에 퇴사했다.
도비는 떠납니다... ㅇㅅㅇ
21년 1월 25일에 스타트업에 취직했다.
기존 회사에서 하던 '구조 해석'업무와, '데이터 분석' 두가지를 필요로 하는 곳이 마침! 있었다
누군가가
완전 비전공자가 강의 몇달 듣고 머신러닝, 딥러닝 분야로 이직 가능?
하고 물어본다면, 그건 어렵다고 말해줄 것 같다.
나도 기존에 하던 업무를 일부 필요로 하는 곳이어서 이직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python 프로그래밍과 딥러닝까지의 기본이론들을 숙지하는데 1년 가까이 걸렸다.
물론
사람마다 배우는 속도의 차이,
전일로 배우는지 직장과 병행하며 배우는지,
데이터 분석만 할건지 머신러닝 딥러닝까지 할건지
에 따라 다를수는 있다.
하지만 스스로 '확신'과 '의지'가 있으면 무슨일이든 할수있다.
확신이 들었다면 '배움의 기간'과 '지식의 깊이'에 너무 집착하지 말고 일단 도전해보기를 권한다.
이상으로 후기를 마친다.
'클래스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영욱 작가의 30개 글감으로 에세이 작가 되기 강의를 듣고 (0) | 2022.11.27 |
---|---|
광고인 박웅현과 크리에이티브 강의를 듣고 (0) | 2022.11.27 |
지브리 스튜디오 제작국장에게 듣는 스토리텔링 기획법 강의를 듣고 (2) | 2022.11.27 |
김영하 작가의 글쓰기(‘내 안에 숨어있는 진짜 이야기’) 강의를 듣고 (0) | 2022.11.27 |
댓글